CS/Network

[네트워크/Network] 라우터의 패킷 지연과 패킷 스케줄링 방법

💡 0. 들어가면서 지난 포스팅에서는 라우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고, 입력포트의 기능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특히, 입력 포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포워딩 테이블을 참조하여 도착된 패킷이 스위칭 구조를 통해 전달되는 라우터 출력 포트를 결정했는데요. 이 때 수많은 패킷 주소를 적은 수의 포워딩 테이블 엔트리로 관리하기 위해 프리픽스(Prefix)를 이용한 목적지 기반 전달 방법에 대해 살펴봤었습니다.

2021.10.11 게시됨

CS/OS

[운영체제/OS] 여러가지 페이지 교체 정책에 대해

0. 들어가면서 지난 시간에 가상 메모리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공부했고, 한정된 물리 메모리에 많은 양의 논리 메모리를 로드하기 위한 디맨드 페이징(Demand Paging) 전략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디맨드 페이징(Demand Paging)은 필요한 페이지만 물리 메모리에 올려두고, 물리 메모리에 가용한 공간이 없으면 스와핑(Swapping)을 통해 페이지를 교체하는 컨셉을 가진 방법이었습니다. [운영체제/OS] 메모리 관리 - 디맨드 페이징(Demand Paging)과 Page Fault Issue 💡 1. 리마인드 가상 메모리는 Virtual 또는 Logical Memory라고 부르는데, 이전에 메모리 관리를 공부하면서 사용해왔던 개념입니다. 멀티프로세싱 환경에서 각 프로세스는 자신의 가상 메모리..

2021.06.14 게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