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Database

[데이터베이스/DB] 키(Key)의 종류와 개념

1-1. 들어가면서 데이터베이스는 수 많은 테이블과 그 안의 데이터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테이블은 정렬되지 않고 조직화되지 않은 수천 개, 수만 개의 레코드로 확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테이블 속에서 특정 레코드를 가져오려면 그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조건으로 조회하는 작업이 필요한데요. 이 때 필요한 개념이 데이터베이스에서 키(Key)이며, 이번 시간에는 여러가지 키에 대한 개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선 키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키(Key):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에서 테이블 관의 관계를 설정 및 식별하고, 테이블 내부의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할 때 사용하는 속성 그리고 밑에서 강한 엔티티 타입과 약한 엔티티 타입을 설명하면서 부분키(Partial..

2021.09.26 게시됨

CS/Database

[데이터베이스/DB] 정규화에 대해서(1) - 이상(Anomaly)과 함수적 종속성(FD)

0. 오버뷰(Overview)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설계 시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작업을 정규화(Normalization)라고 합니다. 정규화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서, 아래 간단한 예시를 보겠습니다. 학번 이름 단과대학 과목코드 중간 성적 2016000001 조성현 공과대학 CSE123 A 2016000002 김영희 상경대학 CSE124 B 2016000001 조성현 공과대학 CSE125 C 2016000003 이철수 문과대학 CSE126 F 위 표는 학번, 이름, 단과대학, 과목, 중간 성적을 저장하고 있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입니다. 그리고 학번과 과목코드가 기본 키(Primary Key)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번과 과목코드를 통해 중간 성적을 결정지..

2021.09.15 게시됨